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np.load()
- 작업형
- 빅분기
- 비가변매개변수
- np.save()
- list
- linalg.solve()
- 실기
- Collections
- 가변매개변수
- DEEPLEARNING
- os.path.join
- 필답형
- np.savetxt()
- matplotlib
- request Method
- set_index
- kaggle
- coding
- numpy
- BASIC
- Heapreplace
- heapmerge
- Python
- deg2rad
- namedTuple
- 빅데이터분석기사
- 빅데이터
- Math Function
- array
- Today
- Total
목록일상 일기 (4)
맞춤형 플랫폼 개발 도전기 (웹개발, 딥러닝, 블록체인)

'CLOVER'라는 프로젝트 명으로 진행했던 '가족 찾기 QR 서비스'는 드디어 구현에 성공했다. 개인정보 활용 면에서 이슈가 있어서 그게 해결되고, 조율이되면 런칭(도메인을 사서 실제로 서비스화)도 해볼 생각이다. 그래서 이번에는 코딩테스트 준비도 할 겸 언어는 Python으로 코딩테스트, 빅데이터분석 이렇게 두 부분으로 나눠서 공부를 이어 나가고, 공부하면서 복기할 겸 정리해서 TIP 위주로 올릴 것이다. (그리고 Kaggle 대회도 다시 참가하면서 감을 다시 키워보려 한다.)
JAVA Spring까지 목표하던 수준의 공부를 마치고, 프로젝트를 하나 하고 있다. 프로젝트명은 'CLVOER', 사람을 찾아주는 서비스를 하나 만들어 보려고 한다. 이 프로젝트는 10월 중순 완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나는 JAVA, Python 이렇게 두 언어를 내 것으로 만드려고 한다. Python은 코딩테스트를 같이 준비하기 위해 각종 모듈들에 대한 공부를 기본으로 하고, 데이터 가공 및 전처리, 시각화 등 딥러닝을 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하려고 한다. JAVA는 내가 원하는 데이터 수집을 해 DB까지 관리할 수 있는 정도의 수준을 달성하고자 한다. (웹개발 기본) 공부를 하면 할수록 구체적인 목표가 생기니 할 일이 더 많아지는 것 같다. 여유가 없을수록 마음에 여유를 가지고 차근차근 ..

너무 바쁘다. 블록체인, 플랫폼, 큰 그림에 맞춰 공부는 하고 있는데 제대로 시작하려니 기본으로 갖춰야 할 것들이 너무 많다. 딥러닝 공부를 하려고 하니 Python이 필요하고, 웹으로 데이터를 가져오려니 Java도 해야하고.. 원래 나는 뭔가 시작할 때 우선순위를 먼저 설정하는 편이다. 그런데 하다보니 '뭐 하나부터 떼자!' 보다 병행을 해야 할 듯해 일과, 주말, 시간 나눠서 MultiThread 하듯이 하고 있다.. 시간이 아주 호로록 간다. 하루가 40시간이었으면 좋겠다. 뭔가 어느 정도 일상의 규칙성이 생기고 해야 업로드할 여유가 생길 것 같다.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은 2년 4개월의 군생활이 끝났다. 뒤돌아보니, 참 열심히도 달려왔다. 역사 왜곡으로 우리나라의 역사가 더럽혀지고 폄하되는 것이 싫어 올바른 역사를 알리기 위해 무작정 영어공부를 시작했다. 덕분에 영어실력은 어디 가서 잘한다고 말할 정도의 수준은 되는 것 같다. 역시 부딪히며 배우는 게 최고다. (블로그로 시작을 하려다, 블로그에 있는 사이버외교 활동들을 추억으로 남겨두고 싶어 티스토리에서 개발자로서의 새로운 시작을 하려고 한다) 대학에 입학해서 경제학 공부를 하다보니 금융 거래를 안전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는 블록체인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블록체인 플랫폼을 만들어보고 싶다는 생각으로 컴퓨터공학도 같이 전공하게 되었다. 컴퓨터공학은 정말 재밌었다. 특히 빅데이터와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