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Base (Java설치, 설치 TIP 그리고 개요)
어떤 언어든 설치가 기본인 것 같다.
설치를 하기 전 기본적인 설명을 하자면,
컴퓨터 프로그램이란 소스코드로 잘 짜여진 틀을 의미한다.
프로그래밍 언어는 무엇일까? 단순히 말하면 컴퓨터와 개발자가 소통하기 위한 언어라고 말할 수 있을 것 같다. 이 언어로 작성해 놓은 것이 바로 소스코드이다.
이 소스코드를 번역해 주는 작업을 컴파일러가 한다.
자바 프로그램은 일반 프로그램과 다르게 이식성이 좋다. 이식성이 좋다는 것은 한번 만들어진 프로그램을 다른 CPU를 가지는 하드웨어로 쉽게 이식할 수 있다는 뜻이다. 일반 프로그램은 Windows에서 Linux로 운영체제가 바뀌면 운영체제별로 다 바꾸어 주어야 하지만, JAVA는 JVM(Java Virtual Machine)만 설치되어 있다면 그럴 필요가 없다는 점이 큰 장점이다.
(하지만 반드시 JVM이 설치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 단점이 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컴퓨터가 실행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 OS(운영체제), 하드웨어가 필요하다. 여기서 OS는 하드웨어에 적절한 전기신호를 흘려주는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면 편하겠다. 여기에 JAVA는 JVM이 추가된 형태로 생각하면 되겠다.
이제 설치를 시작해보자!
일단, JAVA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JVM, JDK, JRE이 필요하다. JVM이 JAVA 프로그램을 설치해 주는 것이라면, JRE와 JDK는 환경을 조성해주는 역할을 해준다고 생각하면 된다. JRE(Java Runtime Environment)는 JVM을 생성하고, JVM이 가동될 때에 필요한 라이브러리 파일들이 있다. JDK(Java Development Kit)는 JRE외에 필요한 모든 도구들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JDK를 설치하면 JRE가 포함되어 설치되는 형태이다. 따라서, JDK를 설치해 볼텐데, 가장 안정적이라고 생각하는 1.8을 택해서 설치하도록 하겠다.
여기서 각자의 운영체제에 맞는 JDK를 설치하면 된다. 간단하다.
하지만, 중요한 점은, 파일 저장 경로에 Program Files 처럼 공백이 경로 안에 있다면 나중에 충돌이 발생할수도 있기 때문에 그런 요소만 없애주고 진행해주면 된다. JDK를 설치하다 보면 마지막에 JRE를 어디에다가 저장할지를 물어보는데, 이 때 JDK가 저장되어 있는 곳에 JRE를 같이 저장해주면 편하다. 이렇게 JDK를 설치하면 java와 javac라는 두 가지 명령어가 생기는데, javac은 .java파일을 컴파일하고 java는 .class파일을 실행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 명령어들을 실행시켜 주기 위해서는 자바 프로그래밍 환경을 구축해주어야 한다.
[내컴퓨터 - 속성] ([제어판 - 시스템 및 보안 - 시스템]으로 들어가도 된다) 에서 오른쪽의 '고급 시스템 설정' 으로 들어간다. 그러면 시스템 속성 창이 나타나고, 환경 변수를 클릭해 들어가면 시스템 변수의 '새로 만들기' 를 클릭하여 시스템 변수를 추가할 수 있다. 본인이 알아볼 수 있는 설치한 JDK 경로를 변수의 값으로 설정하고, 변수의 이름에는이 긴 값을 대체할 이름을 정해주면 된다. (하지만 통상적으로 JAVA_HOME이라 설정하므로 나 또한 JAVA_HOME으로 설정해 두었다.)
그리고 시스템 변수 목록중 'Path' 선택 후 편집을 눌러 새로 만들기로 아래의 값을 추가헤주면 된다. 여기서 bin은 java와 javac가 들어있는 파일이다. 여기(bin)에서 java와 javac를 찾아라 말해주는 것과 같다. 이후 cmd 창을 켜 java -version, javac -version을 입력했을 때 아래와 같이 JAVA의 version이 뜬다면 제대로 설치가 되었다는 것이다.
이제 드디어 JAVA IDE(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통합개발환경)를 설치해보자.
여기에서 IDE and Tools를 클릭한 후 Desktop 부분 Eclipse의 이미지를 클릭하면
Other packages를 클릭해 아래의 패키지들 중 본인이 원하는 패키지를 운영체제에 맞게 선택해 설치하면 된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점은 반드시 반드시 .zip링크로 (아래 File:~로 되어 있는 zip 파일) 다운로드 받아야 한다. 위에 있는 Download가 설치버전, 아래 zip파일이 무설치 버전인데, 프로젝트를 여러개 할 때 설치버전은 버전이 다 다르기 때문에 매번 프로젝트를 할때마다 새로 설치를 해야된다. 하지만, 무설치 버전은 버전을 여러개 놓고 할 수 있기 때문에 zip링크로 다운을 받아 설치해는 것이 좋다. 이러면 Eclipse설치까지 완료된다.
그렇다면 이제 본격적으로 시작해 보도록 하자!
앞으로 정리할 내용의 context를 간단히 정리하자면,
1. 입력과 출력, 변수 (형변환 포함)
2. 연산, 연산자
3. 제어문 (조건식 포함), 반복문
4. 배열 (DB에서는 2차원 배열이 필수적)
5. 메소드
6. 클래스 (추상 클래스 포함)
7. Casting
8. 인터페이스(Marker 인터페이스 포함)
9. Object 클래스, Wrapper 클래스
10. 예외처리
11. API
12. Collection Framework
13. Thread
14. MVC
15. 파일 입출력
정도가 될 것 같다.
위의 내용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질지는 잘 모르겠지만 위의 묶음대로 업로드를 하게 될 것 같다.
꿈을 꾸는 모든 사람들 화이팅이다.